주요경제권, 코로나사태 이후 시장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친환경정책 추진 【 2020년 01월 07일 목요일자 코리아헤럴드 】
배현정 기자
수요일, 코트라'는 " 코로나사태의 비극을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전세계 주요경제권들에서는 점점 더 친환경적인 정책들을 적용해 나가고 있다." 고 밝혔다. 보고서에서 '코트라' 는 " 올해, 미국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환경친화적인 정책들이 성장동력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라며 ,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자동차 · 청정에너지 · 스마트그린시티 프로젝트는 코로나사태가 완화된 이후 경제와 환경보호계획을 대대적으로 시행하려는 계획과 함께 美바이든 신정부의 물망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고 했다.
바이든 美 대통령 당선인은 도널드 트럼프 전임대통령이 탈퇴했던 파리기후협약에 재가입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
보고서에서는 " 바이든 대통령은 그린뉴딜 프로젝트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Buy American" 이라는 슬로건을 강조하며, 내수산업 부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탄소중립지침 발표를 주도하고 있는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기후와 지속가능프로젝트 때문에 1조유로 (*1조 2천3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그리고 그린뉴딜에 중점을 둔 유럽연합의 대대적인 경기부양계획에 대해, 기업들은 탄소세 와 같은 보호무역주의적 악재에 대해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 고 밝혔다.
한편, 세계에서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국가로 남아 있었던 중국은 최근 기후변화조치에 대해 관심을 돌려,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구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관련, 코트라의 보고서에서는 " 주요경제권들이 탈脫탄소화에 중점을 두는 동안, 중국은 5G와 인공지능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인프라 활용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인도는 자국의 탄소배출을 부분적으로 상쇄하기 위한 방편으로, 재생가능한 에너지 부문에 관심을 두는 한편,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은 관련 기반시설들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손수득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 본부장은 " 주요경제권의 그린뉴딜은 시장규제' 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사업기회 이기도 하다." 라며 " 기회를 잡기 위해 기업들은 계속해서 녹색산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소위 ' 그린보호무역주의'에도 대비해야 할 것" 이라고 했다.
ajor economies across the world are increasingly adopting eco-friendly policies as a move to overcome the market fallout of the covid-19 pandemic, the state run Korea Trave-investment Promotion Agency said Wednesday.
" With the incoming inauguration of the Jo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this year, environment-friendly
inauguration[명사]=취임식
policies are expected to pick up momentum," the agency said in a report.
Non-polluting cars, clean energy, and smart green city projects are likely to be on (Biden's) list, along with post-coronavirus economic re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general."
US president-elect Biden pledged to rejoin the Paris Climate Agreement - which his predecessor Donald Trump exited - and to invest $1.7 trillion in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year 2050.
Also, the new leader is expected to to underline the "Buy American" slogan in the green new deal project, seeking to boost the domestic industries, the report said.
The EU, which took the lead in announcing the carbon neutrality road map, is set to investing more than 1 trillion euros (=$1.23 trillion ) by 2030 into climate and sustainability projects.
" For companies, ( the EU's extensive focus on green deals ) means that they will have to provide against possible protectionist fall outs such as carbon taxes," the report said.
China, which has for long remained the largest carbon-emitting state has recently inched towards climate actions, vowing that it will target carbon neutrality by 2060.
관련기사 &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