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개조사; 주기된 항공사들의 여객기들을 개조하는 업무로 문전성시 【 2020년 09월 15일 화요일자 코리아헤럴드 】
몬트리올(=로이터통신)=코로나사태로 항공사에서 운용하던 여객기들이 전면 비행에 나서지 못하게 됨에 따라, 항공기를 해체하고, 항공기부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의 실적이 호황기에 접어드는 것은, 항공사들이 운용중인 여객기들의 퇴역을 가속화하기 때문에 일어나고 있는 예상된 반등의 조기징후로 보고 있다.
기업경영진들과 애널리스트들은 " 중고항공기부품의 재고를 확보하고, 부품을 분해하여, 이를 매매하는 기업들은 항공사들이 운용중인 항공기들의 유지 | 보수에 소요되는 경비를 감축하고자 함에 따라 업계에서 연 30억달러로 추산되는 중고부품가격을 압박하고 있는, 갑작스런 중고부품의 공급급등사태를 해결하고 돌파구를 찾을 기회를 주기된 항공기에서 찾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때문에 항공산업이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미국의 상업용 항공우주부문기업인 GA Telesis의 경영진들은 항공기해체를 제안해 온 5개 항공사들의 요청을 접수했다.
AeroSpace사의 최고경영자는 " 국경너머에서 카나다의 AeroSpace는 단지 항공사들로부터 할당받은 항공기들을 재활용하는 대신, 사상최초로 기체를 해체해 재판매하기 위해 주기된 기체를 매입하기 위한 입찰에 뛰어들었다." 고 했다. 항공사들이 유지보수비용을 큰 폭으로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나섬에 따라, 쓰나미처럼 밀려들어오는 그러한 중고부품의 수요를 예상하는 컨설턴트 Oliver Wyman의 보고서에서 사용가능한 중고소재시장에서 종사하는 기업들은 전세계에 주기된 항공기들의 운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고소재는 유지|보수, 수리, 전면개보수 등의 부문을 감안하면, 신규부품과 경쟁하며 항공사들의 수요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 Naveo Consul tancy 는 항공기수리용 중고소재시장규모를 500억달러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그결과, 한 업계 경영진은 " 그는 부품들을 매입하는 것을 꺼리며, 너무나 많은 항공기들이 해체될 경우, 업계가 침체기에 빠져드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며, 익명으로 " 저희들은 중고소재 , 부품가격이 급속히 하락할 것이라고 본다." 고 했다.
데이터기업인 Cirium에 따르면, 부품을 확보하거나 폐기처분하기 위해 해체되는 항공기 수는 2016년 이후 약 500~600대에서 2023년까지 연간 1,000대까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Naveo사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여객기와 화물기의 60퍼센트정도가 운항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퇴역하거나, 현업에 복귀하지 못하는 항공기 대수는 2019년 680대에서 2,000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Naveo사의 Richard Brown 상무는 " 일부 항공사들은 상황이 호전되기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모든 항공기들이 당장 해체되지는 않을 것" 이라고 했다.
보통은 연간 40~50대의 항공기를 해체하는, 영국에 본사를 둔, Air Salvage International 은 코로나사태가 발생한 이후 부품을 매입할 고객사가 없어, 많은 항공사들을 주기시켜 놓고 있다. 하지만, Air Salvage International의 Mark Gregory 창업주는 대부분의 항공기들은 결국 해체될 것으로 보인다." 라고 했다. 코로나 사태가 일어나기전에는 ''엔진'과 같은 고가치부품들에 대한 상당한 수요를 반영하여, 바이어들과 함께 Air Salvage에 도착했다.
항공사들은 연식이 오래지 않은 여객기를 중정비 Heavy Maintenance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퇴역한 여객기들에서 쓸만한 중고부품을 찾는다. 이 같은 중고부품 활용은 항공사들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항공기를 정비해가며, 계속해서 운항할 수 있게 했다.
GA Telesis의 Abdol Moabery 최고경영자는 " AirSalvage의 최대주주로 Tokyo Century를 꼽고 있는 GA Telesis는 항공사들이 GA Telesis에서의 유지보수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주기된 항공기에서 부품을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고 했다.
2020년, 항공여객수가 55퍼센트 감소할 것이라는 결과가 예측되는 코로나사태는 영국항공British Airway가 보유 항공기들 중 주기중인 B747여객기들을 포함한 노후기체들의 조기퇴역을 가속화 시켰으며, 이들 중 일부는 Air Salvage로 향했다.
국제적으로 광동체Twin-Aisle 항공기들의 운항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화물기로 사용되는 특정항공기 기종 이외에는 이들 기체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곳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Naveo사에 따르면, 창업주인 Gregory씨는 Air Salvage사는 해체중인 여러대의 A380기에 대해 항공기 리스사의 접근방식으로 접근했지만, 미미하나마 수요가 있어서, 약 5퍼센트의 점보기들은 아직 현역에 있다. 현재, 단일통로 항공기 타입의 약 64퍼센트 정도가 일선에 있으며, 국내선에서 운항하고 있기 때문에, 항공사들은 협동체 항공기의 부품을 구하고 있다.
베어드캐피털의 영국측 파트너사인 James Benfield사는 8월에, 사모펀드기업들이 한 항공기해체전문기업을 인수한 이후 B737기나 A320기를 대상으로 한 해체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유지보수기업들이나 신형엔진생산업체들도 중고소재거래에 뛰어듦에 따라, 시장에서 공급초과로 판매에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지난 1월, 제너럴 일렉트릭의 최고경영자는 " GE는 서비스 가능한 중고소재의 산업트랜드에 참여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고 했는데, GE Aviation은 엔진만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중고부품도 사용한다.
이외, Aerospace사도 퇴역하는 항공기에서 새로운 기회를 보았다. AeroSpace사의 Ron Harber 최고경영자는 " 항공기처리업체에서 항공기매입에 관심을 보이려 하면, 소규모 항공기 재활용업체들은 수요를 줄어든 새로운 사업개발 실무진들을 고용한다." 며 " 이것은 계산된 위기이다. 우리는 어떤 유형의 항공기가 지금까지 수요가 높은지, 운항할 예정인지 안다." 고 했다.
항공사들은 특정 흥정꾼으로 부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손해를 보면서까지 보유항공기를 매각하려 하지는 않는다. 이에 Moabery씨는 이때문에, 이들 항공사들은 항공기의 매매가격을 조금씩 인상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제안은 아직까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고 했다.